삼성 PC, 노트북

 

1. PE로 부팅해 rsimagex 등을 이용해 기존 Legacy용으로 만들어 논 WIM을 윈도우가 설치된 파티션에 풀어 넣기

2. 터미널을 열어 DISKPART를 통해 파티션 및 볼륨을 확인 해 EFI가 설치된 볼륨을 찾아 bootrec 복구

 

X:\....>diskpart

 

DISKPART>list disk

 

디스크를 확인 후 윈도우가 설치된 디스크 선택

 

DISKPART>select disk 0

 

설치된 볼륨을 확인(파티션)

 

DISKPART>list vol

 

보통 SYSTEM이라고 된 파티션이 EFI 파티션

 

DISKPART>select vol 5

 

이 파티션은 드라이브명이 지정되어 있지 않아 접근이 불가능 하므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드라이브명 지정

 

DISKPART>assign letter=b:

 

드라이브가 할당되었다는 메시지가 나오면 나온 후

 

DISKPART>exit

 

x:\.....>b:

b:\>cd EFI\Microsoft\Boot

 

기존 BCD를 백업

 

b:\EFI\Microsoft\Boot>ren BCD BCD.bak

 

BCD재생성

 

b:\EFI\Microsoft\Boot>bcdboot c:\Windows /l ko-KR /s b: /f ALL

 

부팅 파일이 만들어졌다는 메시지가 나오면 터미널을 닫고 재부팅

 

한성(HANSUNG)

 

A26X

 

바이오스 진입

F2

 

바이오스 부팅메뉴 선택

F7

 

서버를 열어 랜카드를 추가한 후

 

콘솔이나 SSH에서 접속해

 

:~# ip link

 

명령으로 추가된 랜카드의 이름을 확인한 후

 

:~# ip addr flush dev 랜카드이름(보통 ens1 이런식으로 보임)

 

OpenMediaVault 웹 GUI로 접속 후

 

네트워크 탭에서 위에서 추가한 랜카드가 보이는지 확인 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탭에서

기존의 랜카드 설정을 삭제

 

삭제를 하고 삭제상황을 Apply하겠냐는 노란탭이 상단에 나오면 건드리지 말고(이걸 Apply하면 네트워크카드가 지워진 상태로 저장되어 웹 GUI 접속이 안됨)

 

추가버튼의 결합을 선택한 후

랜카드(네트워크카드) 두개를 모두 선택 후 주 사용 랜카드를 지정하고 본딩방식을 지정한 후 적용

 

상단 노란줄의 Apply 클릭

 

본딩완료

명령프롬프트를 관리자권한으로 실행

 

C:\>netsh interface ip show interfaces 로 장치의 색인번호를 찾아낸 후

 

C:\>netsh interface ip set address 색인번호 static ip주소(192.168.0.101과 같은) subnet마스크(255.255.255.0과 같은) gateway(192.168.0.1과 같은)

 

DNS주소 설정은

 

C:\>netsh interface ip set dnsservers 색인번호 static DNS주소(168.126.63.1과 같은) primary

 

 

가끔 노래 틀어놓고 작업하고 싶을때 항상 고민이 많았는데 팝은 이 사이트 하나 찾아서 잘 즐기고 있습니다.

 

https://jango.com 

 

Free Music Online - Internet Radio - Jango

Listen to all the music you want on Jango Radio. Jango is personalized internet radio that helps you find new music based on what you already like. Unlimited listening, fewer ads.

www.jango.com

즐기세요~!

기존에 MBR형식으로 작업해논 시스템 설치용 이미지가 있을 경우 UEFI만 지원하는 시스템(삼성 데스크탑등)에 기존 이미지를 이용.

 

준비물

 

PE부팅 USB(DISKPART 및 MBR2GPT 실행이 가능한지 확인)

 

1. PE로 부팅해 디스크를 원하는 형태로 파티션을 나눈 후 기존 이미지를 이용 파티션에 윈도우를 설치

2. DISKPART를 이용해 윈도우가 설치된 파티션의 디스크 번호를 알아낸 후

3. mbr2gpt /validate /disk:0     (<- 여기서 0 이 디스크번호) 명령으로 변환이 가능한지 알아보고

4. mbr2gpt /convert /disk:0 명령으로 변환

 

재부팅

 

Stereo to Mono

 

스테레오를 모노로 변환해야 할 경우가 생겨 찾아봤으나 한국 사이트에서는 검색이 쉽질 않았고 구글에서 Stereo to mono circuit으로 검색하면 많은 자료가 나옴

 

그 중 적당한걸 찾았고 생각보다 괜찮게 나와서 만족

 

스테레오를 모노로 변환하는 회로

 

못쓰게된 스피커를 분해해서 나오는 스피커에 오픈마켓에서 저렴한 앰프회로를 사서 이런 방식으로 변환해 사용하면 응용할 범위가 꽤 생긴다.

 

LM386을 이용한 저렴한 앰프

 

http://item.gmarket.co.kr/Item?goodscode=1596620937

이 사이트에서 나온 방식으로 잘 됩니다.

 

https://www.kudryavka.me/?p=7

 

Nginx에 Letsencrypt SSL 인증서 적용하기 – Kudryavka Noumi

컴퓨터에는 운영모드에선 다양한 모드들이 존재합니다. 그중에서 리얼모드,보호모드,가상 8086모드등이 있지만 리얼모드의 메모리 관리방식에 대해서만 이야기 하겠습니다. 해당 모드의 레지스터 크기는 2바이트(2^16) 밖에 사용할수가 없습니다. 하지만 이상하게 느끼겟지만 리얼모드는 세그먼테이션은 1메가를 사용할수 있습니다. 이는 숫치상을 표기하면 2^20입니다. 더보기…

www.kudryavka.me

 

+ Recent posts